Get 썸네일형 리스트형 SSP-DSP 간 연동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HTTP GET vs POST SSP-DSP 간에 HTTP로 통신한다길래 이 김에 한번 정리. https://simplenotion.tistory.com/18?category=1001961 의 광고 특화/심화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HTTP(s)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서, HTML 문서를 포함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웹에서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기반한다. 즉,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웹 서버는 응답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text/html, application/json, application/xml, audio/mpeg 등 header에 .. 더보기 HTTP Request 와 Request Methods 학부 때 몇 안 되는 A학점 중에 하나인 인터넷프로그래밍... 그치만 그 내용을 하나도 기억하지 못한다면...? (생각해보니 커리가 그렇게 좋았던 것 같지는 않다 html js 문법 외운 거 말고 뭘 배웠는지 잘 모르겠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다. 새삼 짚고 넘어가는 이유는 http가 본디 transfer protocol이었고, 이 때문에 transfer이 종료되면 연결이 뚝 끊기는 - 두 개의 다른 transfer 간 아무 연결도 없는 - stateless 함을 지니기 때문에, 쿠키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럼 대체 무엇을 transfer하냐면, 문서 등을 transfer 한다. 이런 문서의 교환은 서버 - 클라이언트 간에 이루어지기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