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tml

HTTP Request 와 Request Methods 학부 때 몇 안 되는 A학점 중에 하나인 인터넷프로그래밍... 그치만 그 내용을 하나도 기억하지 못한다면...? (생각해보니 커리가 그렇게 좋았던 것 같지는 않다 html js 문법 외운 거 말고 뭘 배웠는지 잘 모르겠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다. 새삼 짚고 넘어가는 이유는 http가 본디 transfer protocol이었고, 이 때문에 transfer이 종료되면 연결이 뚝 끊기는 - 두 개의 다른 transfer 간 아무 연결도 없는 - stateless 함을 지니기 때문에, 쿠키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럼 대체 무엇을 transfer하냐면, 문서 등을 transfer 한다. 이런 문서의 교환은 서버 - 클라이언트 간에 이루어지기에,.. 더보기
xml과 json 프론트에서 그린거 말고 api 반환값을 직접 좀 들여다봐야 할 때가 있다. 반환해야 될 값이 빠져있거나, 전달은 되는데 프론트 상에서 노출이 안되거나 하는 경우인데 지금 일하는 곳서는 프론트 단에서 노출 서버 API에 키워드와 조건 (이용자 정보) 등을 조합해 질의 노출 서버는 적절한 문서 조합을 반환 하는데, 이 때 반환되는 문서가 xml 형태이다. 덕분에 파싱도 해보고 파라미터 여러 개 바꿔가며 가지고 놀 수 있었는데, 대체 이 xml 형식의 문서가 뭐고 api가 이런 종류의 응답을 제공하는 게 일반적인지, 아니면 다른 형태의 리턴도 줄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회의 하다가 "xml 대신 json으로 드릴까요?" 라는 말이 나왔기 때문에. XML Xtensible Markup Language. 1..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