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B 썸네일형 리스트형 SSP-DSP 간 연동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HTTP GET vs POST SSP-DSP 간에 HTTP로 통신한다길래 이 김에 한번 정리. https://simplenotion.tistory.com/18?category=1001961 의 광고 특화/심화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HTTP(s)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로서, HTML 문서를 포함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웹에서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기반한다. 즉,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웹 서버는 응답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text/html, application/json, application/xml, audio/mpeg 등 header에 .. 더보기 Programmatic Buying Models DSP가 각 pub/exchange와 조금 특이한 딜들을 맺는 사례도 있길래 좀 정리해 보기로 하였다. PG/PA 등 온갖 약자가 떠돌아서 접근이 좀 쉽지 않다. Open Auction (Real-Time Bidding(RTB), a.k.a. Open Market)모든 광고주가 참여할 수 있는 공개 경매 방식이다. 가장 높은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주가 광고 노출권을 얻는다. 당연히 광고 인벤토리는 보장되지 않는다. Pricing은 공개 경매고, 노출 수 보장 등도 존재하지 않는다. Private MarketPlace (PMP, a.k.a. Private Auction)퍼블리셔가 선별한 광고주들만 참여할 수 있는 초대 전용 경매다. 통상 오픈 옥션보다 프리미엄 인벤토리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어중이떠중.. 더보기 MRAID와 VAST MRAID와 VAST 모두 광고 요청/서빙에서 자주 언급되는 프로토콜이라 한번 알아보기로. MRAIDMobile Rich Media Ad Interface Definitions 의 줄임말로, 모바일 앱에서 실행되는 리치 미디어 광고를 위한 업계 표준 API이다. 리치 미디어 광고는 동영상 광고, 확장형(사용자 상호작용 시 더 큰 포맷으로 확대되는) 광고, 플레이어블(캐주얼 게임에서 많이 쓰는데, 퍼즐 같은 걸 미리 플레이해볼 수 있게 구현) 광고, HTML5 기반 광고 등을 의미하는데, 일반 텍스트나 이미지보다 조금 더 구현 난이도가 복잡한 광고 포맷을 통칭하는 거라 보면 되겠다. HTML5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광고와 앱 간 통신 및 특정 기기 기능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모바일 운영 체.. 더보기 RTB real-time bidding의 간략한 역사 Supply 사이드 공부하고 싶은데 회사에서 도통 기회가 생기지 않아 결국 자율학습실 같은 이 블로그로 다시 기어들어왔다. Bid response나 request 샘플들은 쳐다볼 일이 종종 있는데 대체 이런 프로토콜은 누가 왜 만든건지 싶어서. 결국 역사공부가 훨씬 더 재밌는 걸 보면 참 성향 드러나는 거다. 기술 부분들은 다른 글에서 다루기로. RTB (Real-Time Bidding)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광고 인벤토리가 실시간 경매를 통해 판매되고 구매되는 프로세스다. RTB는 주로 프로그래매틱 광고 생태계에서 사용되며, 광고주와 퍼블리셔를 연결한다. RTB 이전에는 그럼 어떤 아사리판이었을까? 인터넷 초창기에는 고정 배너 광고가 주요 수익 모델이었다. 광고 네트워크들이 퍼블리셔와 광고주를 연.. 더보기 Performance Marketing 과 Programmatic Marketing 각각의 개념은 얼추 아는데도 이 둘이 1:1로 상충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점에서 관계를 설명하기 조금 더 어려웠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Legalese 보다 독한 게 Marketese 라고 생각하는데 그래도 통용되는 개념은 짚고 넘어가는 취지에서. Performance Marketing 디지털 광고를 집행하는 방법론에 관한 얘기로, 광고주가 측정 가능한 결과 - 이를테면 클릭, 폼작성, 구매 - 에만 광고를 집행한다는 이야기이다. 이를테면 더 이상 몇 명이 실제 우리 광고를 보는지, 우리 광고를 보고 어떤 액션을 할지도 모르는 "이미지메이킹" 용도의 수퍼볼 광고 같은 것은 하지 않겠다는 이야기. peformance marketing vs digital marketing digital marketing의 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