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tech

MRAID와 VAST

MRAID와 VAST 모두 광고 요청/서빙에서 자주 언급되는 프로토콜이라 한번 알아보기로.

 

MRAID

Mobile Rich Media Ad Interface Definitions 의 줄임말로, 모바일 앱에서 실행되는 리치 미디어 광고를 위한 업계 표준 API이다. 리치 미디어 광고는 동영상 광고, 확장형(사용자 상호작용 시 더 큰 포맷으로 확대되는) 광고, 플레이어블(캐주얼 게임에서 많이 쓰는데, 퍼즐 같은 걸 미리 플레이해볼 수 있게 구현) 광고, HTML5 기반 광고 등을 의미하는데, 일반 텍스트나 이미지보다 조금 더 구현 난이도가 복잡한 광고 포맷을 통칭하는 거라 보면 되겠다. HTML5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광고와 앱 간 통신 및 특정 기기 기능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모바일 운영 체제와 앱에서 일관된 리치 미디어 광고 경험을 제공한다. 배너, 전면 광고 등 주로 모바일 앱 디스플레이 인벤토리에 적용된다.

리퀘스트가 넘어오는 버전은 주로 2.0과 3.0인데, 위치 데이터 활용과 viewability 측정(완벽하진 않음, 유효노출에 대해서는 추후 다루기로...), VPAID(VAST 4.0이후 점진적으로 폐기중) 이벤트가 통합 등의 차이가 있다. 

 

VAST

VAST(Video Ad Serving Template)는 주로 비디오 광고 서빙에 사용되는 XML 스키마이다. 버전을 거쳐오면서 이런저런 변화들이 있는데, 텍스트로 먼저 정리해보자면:

- VAST 2.0: 선형/비선형 광고, 컴패니언 광고 지원, 기본적인 이벤트 추적

- VAST 3.0: 건너뛸 수 있는 광고, 광고 팟(pod) 지원, 오류 보고 기능 추가

- VAST 4.0/4.1: 서버 측 광고 삽입 지원, 유니버설 광고 ID 도입, 메자닌 파일 지원

- VAST 4.2: SIMID 지원, 여러 UniversalAdID 노드 허용

 

 

https://clearcode.cc/blog/vast-vpaid-vmap-mraid/

 

 

대충 이런 변천사를 지니고 있다. 

 

 

Bid Request 샘플을 통해 보기

https://developers.google.com/authorized-buyers/rtb/video-guide?hl=ko

앱 전면 광고 동영상 요청에 apiprotocols 를 통해 지원되는 MRAID와 VAST 프레임워크를 확인할 수 있다. Exchange마다 들어오는 bid request의 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저렇게 친절하게 들어오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사실 표준은 아래 IAB에서 소개하는 integer 값이 맞을 것 같다. 가령 imp.api = [5, 6] 이면 MRAID 2, MRAID 3을 지원할 거고, imp.protocols = [3,7] 이면 VAST 3.0과 4.0을 지원한다는 것. 

https://iabtechlab.com/wp-content/uploads/2022/04/OpenRTB-2-6_FINAL.pdf

 

https://www.iab.com/wp-content/uploads/2016/03/OpenRTB-API-Specification-Version-2-5-FINAL.pdf
https://www.iab.com/wp-content/uploads/2016/03/OpenRTB-API-Specification-Version-2-5-FINAL.pdf

 

 

MRAID와 VAST 간의 관계

1. 목적의 차이

- MRAID: 모바일 앱 내 리치 미디어 광고를 위한 표준 API

- VAST: 비디오 광고 서빙을 위한 XML 스키마

 

2. 적용 영역의 차이

- MRAID: 주로 모바일 환경

- VAST: 데스크톱, 모바일 , 다양한 플랫폼

 

3. 기능의 차이

-  MRAID: 광고와 통신, 기기 기능 액세스 인터랙티브 요소 제공

- VAST: 비디오 광고의 전달, 재생, 추적 기본적인 비디오 광고 기능 제공

 

최근 VAST 4.0 이상에서는 인터랙티브 요소 파일 지원으로 MRAID와의 격차를 축소하려 하는 노력도 있고, VAST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비디오 광고 전달을 처리하고, MRAID를 통해 모바일 앱에서의 추가적인 인터랙티브 기능 구현하는 등 통합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VAST 비디오 광고에 MRAID 기반의 플레이어블 엔드카드를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Video creative with Playable End Card). 또 VAST로 비디오 광고를 재생하고, MRAID를 통해 앱 설치 버튼, 상품 구매 링크 등 맞춤형 CTA(Click-To-Action)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요컨대, 상호보완적이라고 해두겠다. 실제로 비디오, 플레이어블 등 광고 요청 들어올 때 두 프로토콜의 지원 버전들을 명시한다. 위의 bid request를 보면 명확할 것. 

 

반응형

'Ad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atic Buying Models  (1) 2025.01.12
Headerbidding 헤더비딩 vs Waterfall 워터폴  (1) 2025.01.01
RTB real-time bidding의 간략한 역사  (3) 2024.12.22
SKAdNetwork (SKAN)의 정의  (0) 2022.06.25
Moloco 몰로코  (0) 2022.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