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AN의 풀네임은 Store Kit Ad Network 이다. 프라이버시 이슈로 iOS 14.5 이후로 ATT (App Tracking Transparency) 정책이 도입됐고, 광고식별자인 IDFA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와중에, ATT 동의/개인정보 포함 없이도 어느 정도의 전환 트래킹이 가능한 대안으로 Apple이 2018년에 일찍이 제시한 것이다. DSP들은 광고주에게 집행 효과를 제공해야 하니까, 이들의 파트너인 SSP나 MMP들은 퍼블리셔들의 SKAN 대응을 해야 하는 상황.
Store Kit과 SKAN의 정의
우선 Store Kit. 애플에서 제공하는 공식 프레임워크로, 아래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In-App Purchase
Offer and promote in-app purchases for content and services.
App transaction
Verify the customer’s app purchase with an App Store-signed transaction.
Ad network attribution
Validate advertisement-driven app installations.
Recommendations
Provide recommendations for third-party content.
Reviews
Request App Store reviews and ratings from your customers.
Messages
Display App Store messages in your app.
이 중 SKAdNetwork 라는 Class가 있는 형태고, "이용자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API"로 소개되고 있다. IDFA 활용과 달리, SKAdNetwork API를 호출할 땐 ATT 동의가 선행되지 않아도 괜찮다.
참여자
이 API는 아래 종류의 참여자를 포함하고, 이 중 Ad network는 반드시 Apple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앱개발자는 반드시 그들의 앱이 ad network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1. 광고를 내보내고, 광고의 결과로 전환conversion이 이루어졌을 때 install-validation 포스트백을 수취하는 Ad Network
2. Ad Network로부터 광고를 받아서 자신의 지면에 노출하는 Source Apps
3. 해당 광고에서 홍보되는 대상인 Advertised Apps
과정


유저가 광고를 탭하면, 광고주는 캠페인을 구별하기 위한 암호화된 파라미터를 포함한 광고를 내보낸다. 이용자가 광고된 앱을 attribution time-window 내에 설치하면 기기는 install attribution 포스트백을 ad network로 전달한다. iOS 14.6부터는 ad attribution을 획득한 하나의 ad network가 "did-win=true" 이란 파라미터/값을 받을 수 있고, ad impression에 qualified 됐지만 win 조건은 달성하지 못한 최대 다섯 개까지의 ad network가 "did-win=false"라는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참고로 iOS 15부터는 advertised app의 개발자들은 winning 포스트백의 사본을 받도록 opt-in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포스트백 정보는 Apple에 의해 암호화되고, 캠페인ID는 포함하지만 이용자나 기기에 관련한 정보는 담지 않는다. 또 포스트백은 애플이 정한 threshold를 만족한다면 source app의 ID와 전환가치conversion value 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참여자의 responsibilities
위에서 세 종류의 참여자가 있다고 했는데, 이렇게 광고를 내보내고 attribution을 획득하기 위해 각 주체가 해야 할 일은 아래와 같다.
Ad Network
1. 자신의 ad network 식별자를 앱 개발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2. Source app 에게 광고 소재를 제공해야 한다. (참고로 광고 렌더링 방식에는 StoreKit-Rendered Ad와 View-Through Ad가 있는데, 각각 소재로 "App Store product page"와 "자유 소재의 광고 포맷" 을 사용한다.)
3. install-validation 포스트백을 수취해야 한다.
4. 포스트백을 verify 해야 한다.
Source App
1. Info.plist. 에 ad network의 식별자를 추가해야 한다.
2. 광고를 노출해야 한다.
Advertised App
1. registerAppForAdNetworkAttribution()이나 updateConversionValue(_:) 를 호출하여 app 설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2. updateConversionValue(_:)를 호출하여 선택적으로 전환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3. Info.plist에 winning installation-validation postback의 사본을 수령할 수 있는 서버URL을 특정할 수 있다.
한계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참고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torekit/skadnetwork
'Ad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AID와 VAST (2) | 2024.12.25 |
---|---|
RTB real-time bidding의 간략한 역사 (3) | 2024.12.22 |
Moloco 몰로코 (0) | 2022.04.23 |
DMP (Data Management Platform) (0) | 2022.04.17 |
What is adtech and why is it important? (Amazon Ads 번역: 애드테크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1) | 2022.04.03 |